2023. 12. 25. 14:40ㆍ심리학_상담학 이야기
1. 집단의 역동
집단의 배경<참여자 배경>
집단의 역사적 배경이 그 집단의 역학에 영향을 미친다. 예> 처음 모임 새로운 집단은 집단원 상호간에 얼굴 익히는 일, 집단 활동의 과제를 선택하는 일, 협동해서 일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일 등에 대부분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이미 계속적으로 모이는 집단은 위와 같은 일을 위하여 시간을 보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집단 일수록 오히려 갈등, 논란, 분열 등과 같은 효과적 집단에 방해 집단 구성의 특징에 따라서 집단 역학이 달라진다. 어떤 종류의 사람들로 집단이 구성되었느냐? 집단에 대한 사전의 경험을 얼마나 가졌는가? 집단원들이 어떤 기대나 요구를 가지고 왔느냐, 등이 그 집단의 역동에 영향을 미친다.
빨리 마치기를 원하던가, 그날의 모임을 지배하고 싶어한다거나 모든 사람에게 인정 받고 싶어하는 사람이 그 집단에 참여하고 있다면 그것이 다른 참여자에게 여러가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관심을 가진 참여자와 무관심한 참여자, 분명한 목적의식을 가진 자와 막연한 생각에서 참여한 자, 기대감에 차서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는 자와 당황하고 두려워 하는 마음으로 참여하는자 등의 유뮤에 따라 그 집단의 분위기와 활동 형태는 달라진다.
2. 집단의 참여 형태
그 집단은 지도자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집단 자체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집단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 일반적으로 누구한테 질문이나 주의가 주어지는가, 지도자인가, 혹은 특정한 인물인가, 아니면 전체 집단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가, 등과 같은 물음을 통하여 우리는 그 집단의 참여 형태를 중심으로 그 집단의 역학을 분석해 볼 수 있다.
어떤 집단원은 자기만이 모든 사람에게 응답할 권리를 갖고 있는 양 또는 다른 사람보다 자신이 먼저 응답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행동을 함으로써 다른 집단원이 이야기할 기회를 가로막는 경우가 있고, 또 집단내에 비형식적인 작은 하위집단이 형성되어 집단을 지배하므로써 다른 집단원들의 참여할 기회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 다른 참여 형태로 여러 번의 모임에서 계속 침묵을 지킴으로써 그런 어색하고 부적합한 행위로 집단의 분위기를 압도하는 경우이다. 전혀 말을 하지 않는자, 너무 말을 많이 하여 집단을 지배하는자나 모두 집단 발전에 위협적인 존재들이다.
3. 의사소통의 형태
집단에서 사람들은 흔히 기교적인 화술로 상대방에게 자신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서로의 "과거 이야기"를 많이 한다.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음, 오히려 방해가 된다.> 비언어적 수단으로서의 의사소통이 중요하다. 의사소통은 집단 활동의 궁극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기본 수단이며 의사소통의 양상이나 내용이 그 집단의 역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두말 할 여지 없다.
그 집단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소통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집단 성원은 그들의 생각을 정확<분명>히 표현하고 있는가? 쉽게 되물을 수 있는가? <잘 알아들을 수 없을 때> 다른 집단원의 이야기에 엉뚱한 반응을 하고 있지 않은가? 어떤 독특한 언어들이 그 집단에서 사용되고 있는가?
4. 집단의 응집성
집단은 어느 정도로 하나의 공동체로 활동하고 있는가? 그 집단에는 어떤 하위 집단이 있으며 그들이 집단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 집단 응집성의 점검, 우리 집단 혹은 나의 집단으로 부르고 있는가? 응집성은 여러가지 동기화를 통해 일어난다. <예. 외계로 부터 공격을 받으면, 집단은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뭉침이 형성되기도 한다.
낮은 응집력의 징후로서, 집단활동의 주된 호흡에서 벗어나서 은밀하게 하는 특정 집단원 간의 대화나 파벌의 출현 구세대와 신세대, 보수대 진보파 등과 같은 특징이 있다.
5. 집단 분위기
그 집단의 지배적 정서적 분위기가, 따뜻하다든지, 친절하다든지, 느슨하다든지, 허용적이라든지, 비형식적이라든지, 자유스러운 분위기 등, 반대로 차다, 적대적, 긴장된 상태, 형식적, 제약적 등과 같은 특징이 있다.
6. 집단 행동의 규준
이 모임에서 어떤 주제들이 토의될 수 있으며 어떤 것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은가? 집단원들이 어느 정도까지 그들의 감정을 개방적으로 표현해도 좋은가? 허용될 수 있는 진실의 길이와 빈도는 활동 중에도 그 활동을 중단 시킬 수 있는가 없는가? 그리고 그 밖에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이 이 집단 행동의 규준에 포함된다. 보통 명문화보다 암시적으로 통행된다. 또 어떤 집단원들이 그와 같은 집단 행동의 규준에 이탕하는 현상을 두드러지게 보이는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 이러한 규준은 집단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가? 아니면 오히려 방해를 하고 있는가?
이 규준은 실체로 집단원들의 활동에 도움을 주는가 방해하고 있는가?
7. 집단원들의 사회적 관계 유형
어떤 집단원들이 서로 동일시하며 지지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가? 어느 집단원이 계속 외톨이로 보이는가? 더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을 확인, 우정과 반감의 미묘한 관계가 형성된다.
8. 하위 집단의 생성
상대적인 명성, 영향력, 권력, 능력 혹은 설득력 등에 따라 형성되는 집단원들의 배경적인 구조와 조직이기 때문에 다양한 동기로 형성되는 집단 내의 하위 집단의 형태로 이루어 진다.
9. 주제의 회피
어떤 어색하고 다루기 힘든 주제가 대화의 내용으로 취급되기 시작했을 때 <예, 혼전 성교 등 > 이에 대하여 불안하게 느끼는 한 집단원이 의식적, 무의식적이든 그 보다 다루기에 어색하지 않은 다른 주제를 제안하게 된다. 그러면 기다렸다는 듯이 모든 집단원들이 그것을 받아들여 열을 올리며 앞서의 주제에 대해서는 아무도 다시 언급하지 않은 채 지나가 버린다.
'심리학_상담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심리상담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2) | 2023.12.27 |
---|---|
집단 상담에서 상담자의 역할 (0) | 2023.12.25 |
대상관계심리학에 대하여 (0) | 2023.12.17 |
도날드 위니캇과 靈性 (0) | 2023.12.17 |
집단 역동의 이해(1) (0) | 2023.12.17 |